레닷
IT 이야기
레닷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46)
    • 파이썬 (9)
      • 코드 (6)
      • 에러 (3)
    • Linux (4)
    • Window (3)
    • AWS (23)
      • 3tier Architecture (8)
      • Service (10)
    • Azure (3)
      • domain & https (3)
    • 기타 (3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aws
  • 클라우드
  • SSL인증서
  • gcp
  • Azure
  • windows
  • rds
  • AWS 3tier
  • SSL
  • 파이썬
  • 리눅스
  • https
  • 도메인
  • db
  • DNS
  • 서버
  • web
  • 에러
  • 인증서
  • 프로젝트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레닷

IT 이야기

AWS/3tier Architecture

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5. RDS서버 생성

2023. 4. 25. 01:33
반응형

RDS서버는 서버 생성 시 EC2인스턴스처럼 주소가 나오는 것이 아닌 도메인 형식의 엔드포인트 주소만 나오게 된다. 이전 단계에서 만든 DB인스턴스에서 RDS서버의 엔드포인트 주소로 연결을 하여 데이터를 관리해야 한다.

 

1. RDS 생성

엔진은 MySQL로 할 것이다
DB이름, 마스터 사용자 및 암호 설정
전에 만들어둔 EC2 인스턴스(DB)와 연결
DB 서버에서 RDS로 연결을 허용하는 보안그룹 생성


인스턴스와 다르게 5~10분 정도 있다가 생성이 된다. RDS 생성 말고도 RDS와 관련된 활동은 대부분 시간이 꽤 걸리는 편이다.

 

2. 읽기 전용 복제본 생성

데이터가 많아져서 속도가 느려질때 읽기 전용 복제본으로 읽기 속도를 높일 수 있다.

rds 생성과정과 동일하므로 굳이 과정을 넣지는 않겠다

결과

 

3. DB서버에서 MySQL 설치

sudo apt-get update
sudo apt install net-tools
sudo apt-get install -y mysql-server

 

4. RDS 엔드포인트 주소로 연결

엔드포인트 주소 복사

# DB서버에서 MySQL명령어를 통해 RDS서버의 엔드포인트 주소로 접속
# mysql -h [rds엔드포인트주소] -u [사용자] -p
mysql -h rds.abcdefghijkh.ap-northeast-3.rds.amazonaws.com -u root -p

 

접속되면 성공

이 db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용도이고 was 서버에서 데이터 처리 페이지를 작성할 때는 rds서버의 엔드포인트 주소를 넣으면 된다.

반응형

'AWS > 3tier Archit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7. 오토스케일링  (0) 2023.04.26
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6. 로드밸런서 생성  (10) 2023.04.25
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4. 인스턴스 생성  (32) 2023.04.25
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3. 보안그룹  (8) 2023.04.23
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2. 게이트웨이 & 라우팅 설정  (0) 2023.04.23
    'AWS/3tier Archit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7. 오토스케일링
    • 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6. 로드밸런서 생성
    • 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4. 인스턴스 생성
    • [AWS] AWS 3tier Architecture 구성 3. 보안그룹
    레닷
    레닷

    티스토리툴바